GRAMMAR

Draft
  • account_tree
  • bug_report

클로저(closure)

유효 범위와 관련해서 클로저(closure) 패턴에 대해 이해해보자.

클로저(closure)는 영어의 본 의미는 '폐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폐쇄라는 것은 외부와의 연결을 끊겠다는 뜻이다.

클로저(closure)는 ECMAScript 관점에서 본다면 유효 범위(scope)에 대한 문법이라 할 수 있다. ECMAScript는 함수의 반환 값으로 다른 함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반환된 함수는 반환 시점에서의 환경을 그대로 기억하고 유지한다. 이것이 클로저(closure)의 핵심이다.

다음 코드는 클로저(closure)를 설명하는 일반적인 샘플 코드이다.

closureTest() 함수에서 반환하는 값은 함수이다. 반환되는 함수 내부에는 상위 스코프의 x라는 변수를 사용하고 있다. 반환되는 함수 내부의 값은 반환되는 시점의 환경을 기억한다. 따라서 반환되는 함수를 변수에 담아 실행하면 기억하고 있는 환경(변수)에 의해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위의 코드를 보면 closureTest() 함수를 호출할 때 인수 1을 전달한다. closureTest() 함수에서는 param으로 인자를 받아 x라는 변수에 할당한다. 다음에 func라는 변수에 closureTest() 함수에서 실행후 반환하는 함수가 대입된다. 반환하는 함수에서는 상위 스코프의 변수 x를 사용한다. 이때의  변수 x1이 대입되어 반환되고 그 값을 기억하게 된다. 그리고 반환되는 함수는 매개변수를 받도록 설계되었다.

클로저(closure)는 내부에서 사용된 변수의 값을 기억한다.

이제 func(1), func(2) 함수가 차례대로 실행되어지는데 먼저 func() 함수를 호출하면서 인수 1을 전달한다. 이 단계에서 func() 함수의 내부에서 사용하는 변수 x는 이미 1이라는 값을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func() 함수를 호출할 때 인수 1을 전달하면 x에 전달된 매개변수 1을 더한 뒤 x에 다시 대입하여 반환한다. 이후 다시 func() 함수를 호출하면서 인수 2를 전달하면 값이 변경된 변수 x에 더한 뒤 다시 대입하여 반환한다.

보통 함수는 한번 실행하면 내부 변수의 값은 더 이상 의미가 없지만 closure(클로저)에 의해 처리되는 변수는 그렇지가 않다. 이 점을 로직에 활용하여 함수를 개발할 수 있다.